그리고 봄을 기다리는 마음

<茶山论坛-第1148期>

<心灵的朝圣>봄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정근식(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죽기 전에 성지순례를 하고 싶었던 노인, 너무 많은 생명을 죽이고 출세를 청산하고 싶었던 청년, 임산부와 출산을 앞둔 어린 소녀, 이 세 가족, 11명이 “신들의 고향” 라싸와 성지순례로. 그들은 작은 트랙터에 취사도구와 옷, 천막을 싣고 2,500km의 긴 길을 걸었다.

고향을 떠난 지 오랜 세월이 흘렀고 날씨가 따뜻해지고 강이 범람하고 그들이 지나가는 마을에는 꽃이 가득하여 옷을 갈아 입고 머리를 잘랐습니다.

그때 그들을 맞이한 꽃은 무엇이었을까요?

중국 장양 감독이 촬영한 다큐멘터리 ‘영혼의 순례’ 이야기다.

그들은 서로를 위로하고, 조금씩 앞으로 나아가거나, 순례길에서 아이를 낳거나, 청산수이미산에서 노인의 죽음을 마주한다.

매화의 추억

광양 소학정에 매화꽃이 피고, 순천 금련사에도 나월매화가 핀다고 들었습니다.

서울 근교 은지산 자락에는 아직 눈이 남아 있지만 흐르는 물소리가 제법 시끄럽다.

집중할 수 있다면 봄의 소리가 이것보다 더 강력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얼어붙은 얼음이 부딪치는 소리, 눈이 녹는 물 위로 떨어지는 소리가 이마를 때리는 소리에 깜짝 놀란다.

조금 과장하자면 매화꽃 소리는 어떻습니까?

강남의 화신은 매화의 기억을 떠올리게 합니다.

첫 번째 기억은 일본 미야기현의 한국 매실에 관한 것입니다.

1990년대 중반, 도호쿠 대학을 방문하기 위해 센다이로 가는 길에 나는 일본 3대 명승지 중 하나인 마츠시마에서 멀지 않은 즈이간지를 방문했습니다.

북한의 매화꽃을 보기 위해서다.

하나는 홍매화, 다른 하나는 백매화로 나이가 들었지만 그 옆에 누워있는 모습은 여전히 ​​놀랍습니다.

1592년 임진왜란에 참전한 센다이 영주 다테 마사무네가 1593년 창덕궁 선센전에서 포획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와롱매화를 보고 처음으로 매화의 아름다움이 숨이 멎을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400년 전 전쟁을 생각하니 참 혼란스러웠습니다.

몇 년 후 화해의 상징으로 남산 안중근의사기념관 앞에 매화나무를 심었다.

두 번째 기억은 2003년 봄에 본 섬진강 매화다.

봄마다 전남대학교 캠퍼스에서 피어나는 대명매화의 우아한 자태에 감탄하곤 했지만, 하동호암마을과 광양매화농원에서 볼 수 있는 백매화와 홍매화의 아름다움은 별개의 문제다.

특히 하얗지 않은 푸른 숨결에서 나오는 숨결이 아주 싱그럽다.

섬진강의 향기에 취해 쉽게 마음을 가다듬었다.

서울에 가더라도 1년에 한 번은 3월 중순에 꼭 갑니다.

하지만 서울 생활의 분주함은 그 약속을 지키지 못하는 심리적 부담감과 함께 그 약속을 지키지 못한 약속으로 만들어 버렸다.

순례하는 마음으로

3년에 걸친 코로나19 유행이 조금 진정될 줄 알았고, 1년에 걸친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고 올해는 조금 여유로운 마음으로 봄을 맞이할 수 있었지만 현실은 늘 우리의 기대와 빗나간 것 같습니다.

연일 정쟁은 물론이고 미중 갈등에 이어 한반도와 대만을 둘러싼 신냉전 기류도 예사롭지 않고 터키 지진 소식도 가슴을 뭉클하게 한다.

그럴수록 사회적 지혜를 모아 우울한 마음을 달랠 방법을 찾아야 한다.

『마음의 순례』에서 순례자들이 만나는 마을의 어르신은 이렇게 말한다.

“성지순례는 다른 사람을 위해 기도하는 방법입니다.

모든 사람의 안녕과 행복을 먼저 기원한 다음 자신의 행복을 기원하는 것입니다.

이번 봄에는 그 말씀대로 섬진강 상류로 성지순례를 갑니다.

후난 선비들은 가끔 호남 5송이, 산칭 3송이를 언급하기도 하지만 아름다운 꽃 한 송이라도 마주할 수 있다면 막연한 기억이나 상상을 자극해 줄 것이기 때문에 큰 보상이 될 것이다.

고맙게도 20년 전에 한 약속은 은퇴할 때만 지킬 수 있다.